항해플러스 백엔드 5기

1. 항해 99의 연말 이벤트, 깃허브 잔디 기부 캠페인 연말을 맞이하여, 뜻깊은 캠페인에 참여하며 따뜻한 나눔을 실천했습니다.바로 항해99의 인데요!평소 깃허브에 열심히 쌓은 잔디를 1개당 100원으로 환산해 저소득층 아이들에게 코딩 교육을 지원하는 국제 비영리단체에 기부하는 멋진 프로젝트입니다.https://hanghae99.spartacodingclub.kr/campaign 개발자 커리어 개척 캠프 항해99 | 잔디 기부 캠페인세상의 성장에 기여하세요hanghae99.spartacodingclub.kr  2. 참여 방식참여 방법도 간단했습니다.버튼 한 번으로 기부에 동참할 수 있었고,덕분에 제 작은 참여가 큰 의미를 더할 수 있었습니다.특히, 목표 금액인 2천만원이 모이면 더 많은 아이들에게 희망을..
0. 이번 주차 과제하나의 서버에서 동시성을 제어하는 것이 키포인트!코드 레벨에서 동시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1. 문제 - 이번 주차를 지나며 겪었던 문제가 무엇이었나요?1 - 1. Kotlin 문법 미숙Java, Spring만 사용하다가 Kotlin, Spring으로 개발하려다보니 익숙해지는 시간이 걸렸다.1 - 2. Service Layer 의 Unit Test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단위 테스트는 단일 모듈을 테스트하는 것을 말한다. 서비스는 Repository 객체를 의존하기 때문에 Repository 객체를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고민이 되었다. 1 - 3. 동시성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때 race condition이 발생한다.동시성 문제를 고민해 본적이 없어서 막막했다.순차적으로 처리되..
1. 지금까지의 회고지금까지 Java와 Spring을 주로 사용하여 개발을 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원리와 객체지향 설계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지만, 최근 트렌드에 맞춰 새로운 언어와 프레임워크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 Kotlin의 간결하고 현대적인 문법에 매력을 느껴 이번 부트캠프에 참여하게 되었다.2. 항해플러스 참여 계기Java와 Spring으로만 개발을 했기 때문에 새로운 언어와 환경에서의 도전이 필요했다. 항해플러스의 백엔드 과정은 나에게 Kotlin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코치님들과 동료분들이 든든한 "안전망"이 되어줄 것라 생각한다. 이 점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고, 지원을 결심하게 되었다.3. 향후 10년 뒤 커리어 계획항해플러스..